전체 글 89

25. 캐나다 영주권을 받고 내가한 일

2022. 06. 25. 토요일 캐나다 영주권을 받는데 몇년이라는 시간이 소요되었다. 영주권을 진행하면서 그 영주권을 받기 위해 원치 않은 일을 하다 보니 생각하던 것도 많고, 영주권이 나온 후 어떤 것을 해야할지 머릿속으로는 맴돌았는데 실제로 옮겨졌는지 정리해보기로 마음 먹었다. [ 캐나다 영주권자가 되고 나서 바로 한 일 ] 1. 새로운 직장 알아보기 한국에서는 회사만 다녔었기 때문에 캐나다에서 영주권 취득을 위해 식당에서 일하는 시간은 나에게 곤욕이었다. 꽤 오랜기간 근무를 해왔음에도 "하기싫은일", "영주권 때문에 어쩔수 없이 하는일" 이라는 생각 때문에 더 빨리 그만두고 싶은 마음이 지배적이었다. 식당에서 일하는 동안 계속 Closed 워크 퍼밋으로 캐나다에 체류중이라 나의 비자에 기재가 되어있..

Vancouver in Canada 2022.06.26

밴쿠버에서 내 생애 첫 집 입주

2022. 06. 19 밴쿠버에서 내 생애 첫 집 입주 레이니의 일상 이야기 - 다섯 번째 2022년 5월 19일 내 생애 첫 집 주인이 되었다. 집값도 오를때로 올랐고, 금리고 계속 올라가는 이 시점에 집을 구매하는 것은 부적절하게 보일 수도 있지만 사실 나는 집을 지금 구매한 것이 아니다. 아니 5/19일에 집주인이 되었다고 했으면서 이게 무슨말이냐고 하겠지만, 사실 나는 이집을 벌써 2~3년전쯤에 구매하였다. 프리세일로, 아직 짓지 않은 아파트 건물을 건설사가 쇼홈과 플로어플랜등만으로 마케팅하는 집을 구매한것이다. 한국으로 치면 아파트 선분양을 받은 것과 같다. 사실 한국에서는 집을 구매한적도 없을 뿐더러 관심조차 없었기 때문에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는지 자세히 모른다. 캐나다에서는 새 아파트를 지..

레이니의 일상 2022.06.20

랑가라 COLLEGE LEAP 등록 - 두번째

2022. 05. 18 랑가라 COLLEGE LEAP 등록 - 두번째 레이니의 일상 이야기 - 네 번째 랑가라 컬리지의 영어 수업인 LEAP 신청을 하였다고 저번 일상 기록에 기재 하였다. 오늘은 학교 측에서 나의 신청서가 수락 되었고, 등록비용을 결제하면 된다는 이메일을 받아 등록을 완료하였다. 이메일의 내용은 대략 이러하다. Thank you for your interest in the Langara English for Academic Purposes (LEAP) Program at Langara College. We have received your application for the session starting on June 27, 2022. Thank you for submitting all..

레이니의 일상 2022.05.19

랑가라 LEAP 등록

2022. 05. 16 랑가라 COLLEGE LEAP 등록 레이니의 일상 이야기 - 세 번째 랑가라 컬리지의 영어 수업인 LEAP 신청을 하였다. LEAP 수업은 Langara English for Academic Pruposes 의 약자로 정규 컬리지 과정은 아니고 학교 부설 영어 수업이라고 보면 된다. 사실 처음 티스토리 블로그를 시작할때만 해도 나의 공부와 일상을 꾸준히 기록하기 위함이었으나, 바쁘다는 핑계로 잊고 살고 있었다. 그동안 이런저런 많은 일들이 있었다. 먼저 영주권 취득을 하고 난 후 2020년 코로나 당시에 프리세일로 구매한 콘도가 곧 완공이다. 그래서 이제 입주를 위해 클로징을 하는 중인데 생각보다 정말 할일도 많고, 돈도 많이 들어간다. 추 후 밴쿠버에서 집 구매하면서 클로징할때 ..

레이니의 일상 2022.05.17

CFA 자격증

2021. 08. 19 목요일 C F A 자 격 증 레이니의 주식 이야기 - 여덟 번째 사실 이번 글에 소개할 내용은 정확히 "주식"이야기라고 하기는 어렵습니다. 제가 증권회사에서 근무하면서 아니 이런 Finance Industry 직종에서 보았을 때 최고의 대우를 받을 수 있는 자격증. CFA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CFA 영어로는 Chartered Financial Analyst라고 하며, 미국 투자관리 및 연구협회인 CFA Institute에서 1963년부터 실시하고 있는 증권금융, 재무관리 분야의 최고 자격시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국어로는 공인 재무분석사 또는 국제재무분석사라고 합니다. CFP가 개인 재무분석사라고 할 수 있다면, CFA의 경우 법인, 기업 재무분석에 해당하는 자격증으로서..

주식 유상증자

2021. 07. 08. 목요일 주 식 유 상 증 자 레이니의 주식 이야기 - 일곱 번째 코로나 바이러스 팬더믹이 가져다준 주식의 열기. 그 어느 때 보다 주식과 관련된 관심과 이슈가 장기화되고 있는 듯합니다. 과거 주식은 도박의 일종과 같은 느낌을 주었으며, 특히 젊은 세대에겐 큰 관심거리가 아닌 분야였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주식을 하지 않는 사람을 찾기 힘들 정도가 되었습니다. 그러한 만큼 전반적인 경제, 주식과 관련된 지식수준의 향상이 되어 똑똑한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새삼 느끼고 있는 요즘입니다. 최근 제가 가진 종목에 "유상증자"와 관련된 소문이 돌아 그에 관련된 개념을 정립해보고자 합니다. ■ 유상증자의 개념 유상증자는 영어로 Paid - in Capital increase라고 하며, 채권과 ..

채권이란

2021. 02. 26. 금요일 채권이란 레이니의 주식 이야기 - 여섯 번째 주식 시장의 열기가 그 어느 때 보다 뜨거우면서 경제 상식에 대한 개념이 확립되지 않아 물어보는 분들이 많습니다. 최근 며칠 동안 미국의 장기 국채 금리가 상승한다는 뉴스로 인하여 채권이 대체 무엇인지, 그리고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채권의 개념 채권은 영어로는 Bond 또는 Fixed Income이라고 합니다. 기업이 필요한 거액의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생각할 수 있는 은행으로부터 대출을 받는 방법이 있을 것이고, 주식을 증자 발행하여 (유상증자) 자본금을 조달하는 방법, 그리고 채권을 발행하는 것입니다. 채권은 정부, 공공단체와 주식회..

IPO상장과 SPAC합병의 차이점

2021. 02. 22. 월요일 IPO 상장 VS SPAC합병 레이니의 주식 이야기 - 다섯 번째 ■ 주식이란 무엇인가? 요즘 두 세명 이상 사람이 모이면 빠지지 않는 주제가 주식입니다. 평생 경제나 주식 등에 관심이 없던 사람들도 "한 번쯤 투자해볼까?"라고 생각하게 할 만큼 뜨거운 열기를 자랑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과연 그 "주식"이라는 것은 대체 무엇이고 어떻게 증권거래소 시장에 등록이 되어 거래가 되는지 근본적인 개념 이해를 위주로 알아보겠습니다. 주식은 사전적인 의미로서 주식회사가 자금을 조달받기 위해 투자자로부터 돈을 받고 발행하는 증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식회사의 자본을 이루는 단위라고 바꾸어 말할 수 있습니다. 이해하기 쉽게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영희라는 사람이 있습니다. 이 영희는..

주식은 알겠는데 ETF도 주식일까? 첫 비트코인ETF 출시!

2021. 02. 19. 금요일 ETF, 그리고 비트코인 ETF 출시 레이니의 주식 이야기 - 네 번째 경기가 좋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그 어느 때보다 주식에 대한 열기가 뜨거운 요즘이다. 주식 거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보니 자연스레 관련된 지식을 쌓고 공부를 하여 똑똑한 사람들이 늘고 있다. 주식거래를 하거나, 아님 주변에 주식 이야기를 듣다 보면 ETF라는 것이 들리는 경우가 있다. 과연 이 ETF라는 것이 주식의 일환인지 펀드인지 아니면 또 다른 파생상품인지 알아보고 투자를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 ETF의 정의 ETF는 Exchange Traded Fund의 약자이다. 한국어로는 상장지수펀드. 특정 지수의 수익률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된 지수연동형 펀드(Index Fund). 인덱스 펀드..

해외주식 기본 용어 알고 시작하기

2021. 02. 08. 월요일 해외주식에 대한 기본 용어 레이니의 주식 이야기 - 세 번째 해외주식에 대한 관심이 뜨거운 요즘이다. 국내 주식은 좀 알고 있지만 해외주식에 대해 전혀 문외한 이라던지, 아니면 아예 주식에 지식이 없는 분들이라면 기본적인 용어는 알고 시작하자. ■ Symbol (심벌, 종목명) 아주 쉽게 이야기하면 "종목명" 이 되겠다. 한국에서 거래를 할 경우 보통 내가 알고 있는 회사 이름을 그대로 주식 종목명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 현대차 등과 같은 형태이다. 내가 투자하고자 하는 회사를 주식 종목명에 한글로 검색하여 편하게 찾아 투자를 할 수 있는 반면, 미국 주식은 영어로 된 글자 특성상 길게 표기되다 보니 대표 앞글자만 따서 약자로 그 종목명을 만드는 ..

반응형